러시아에서 잘 나가는 한국 카고 크레인
2012년 이후 러시아 시장 점유율 지속 확대
시장 확대 속도 완화 전망
러시아 제조업체 성장 등은 불안 요소

카고 크레인은 트럭 몸체에 장착되어 콘크리트 제품, 기계 공구, 건축자재 적재, 운반 및 하역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특수 기계류로, 카고 크레인이 장착된 트럭은 일반 크레인을 사용할 수 없는 비좁은 지역뿐만 아니라 도로 보수 및 복원, 도로, 산림작업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화물을 작업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러시아의 카고크레인 시장은 2000년대 초부터 규모가 확대되기 시작해 현재 트럭 공급업체를 포함, 현지 및 외국 제조업체의 유압 조작기 부문에서 활발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2007~2008년 두 차례 위기를 겪고 2011년 회복한 이후 2014~2015년 경제위기 이후부터 현재까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해외 생산업체

2012년까지 러시아 카고 크레인 트럭은 30% 중고품이었다. 2015년에는 카고 크레인 트럭 신규 공급량이 크게 줄고, 중고 장비 비중이 크게 늘어나 58%까지 도달했다.
중고 카고 크레인 트럭은 주로 일본에서 출고되나 일부 일본산 카고 크레인은 다른 나라에서 수입되기도 한다. 특히 2014~2015년 경제위기 이전의 일본산 중고 카고 크레인 트럭의 점유율은 90% 정도였으나, 현재는 약 80%에 이르고 있다. 러시아로 수입되는 중고 카고 크레인 트럭의 주요 브랜드로는 MAEDA, UNIC, TADANO이 있다.

 

자료원 : http://japankran.ru/news/35-gidromanypulyator-news/191-rynok-2017카고크레인 트럭 수입 점유율 (2017년 기준)
자료원 : http://japankran.ru/news/35-gidromanypulyator-news/191-rynok-2017카고크레인 트럭 수입 점유율 (2017년 기준)

한국산 카고 크레인 수입 확대

2008년의 위기 이후 러시아 시장에서 한국 카고 크레인 트럭의 인기가 높아졌다. 2007년 한국 제품은 3% 미만이었지만, 2012년에는 전체 점유율 38%를 기록한 바 있다.
2016~2018년 시장 위기 이후에도 한국산 카고 크레인 트럭의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며 현재 총 점유율은 약 43%까지 상승하고 있다. 주요 상위 회사들로는 K(15%), S(13%) 그리고 D(8%)사가 있다. 한국 기업들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며 러시아 시장 1위였던 PALFINGER가 3위로 하락했다.

 

한국과 일본의 전동 승강기 부착 카고크레인 트럭 수요 증가

 

러시아 시장 전문가들은 12톤 자동차 차대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14~20톤 카고 크레인트럭 수요가 늘어나며 승강기 반경이 더 길고 옵션이 추가된 제품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을 전망했다. 또한, 한국산 카고 크레인 트럭 공급증가로 인해 러시아 시장 판매 구조가 크게 바뀌었는데,  이전 러시아로 수입된 카고 크레인 트럭의 대다수는 접이식 구조와 견고한 고리를 가진 유럽제였다. 그러나 한국과 일본에서 제작하는 텔레스코픽 전동 승강기가 장착된 새로운 카고 크레인 트럭이 시장의 상당 부분을 점유했고, 이와 더불어 전동 승강기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유럽의 PALFINGER와 Hiab에서도 전동 승강기 생산을 시작했다.

 

전 세계 수입 현황

 

*순위는 2018년도 기준자료: www.gtis.com러시아 수입 통계
*순위는 2018년도 기준자료: www.gtis.com러시아 수입 통계

한국, 이탈리아 및 오스트리아가 러시아의 주요 공금 업체로, 이 3 개국이 카고 크레인 트럭의 총 수입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3년간 핀란드와 태국에서 수입량이 크게 증가하며 수입 비중이 늘어났는데, 핀란드 수입 비중은 2016년 6%에서 2018년 11%로, 태국 수입 비중은 2016년도 1.29%에서 2018년 4.5%까지 증가했다.

자료: www.gtis.com과거 5년간 대한국 수입 동향(단위: 천 달러, %)
자료: www.gtis.com과거 5년간 대한국 수입 동향(단위: 천 달러, %)

향후 시장 확대는 완만하게 진행될 듯

Tekhincom company 관계자에 따르면, 2016~2018년 시장 회복에 따른 판매가 크게 증가해서 앞으로의 상승세는 완만해질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러시아 정부 차원의 지원으로 인한 KAMAZ 등 러시아 트럭 회사의 성장도 계속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더욱이 한국 제조업체들의 선전으로 러시아 시장의 한국산 비중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 업체들이 러시아 시장에서 좋은 평판을 얻으며 점유율을 확대하면서 한국산 제품의 수입이 확대되는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한국산 제품의 시장 점유율 확대로 한국 업체끼리의 경쟁도 불가피한 상황이며 향후 시장 성장세가 완만해질 것으로 전망 돼 수입 경쟁은 더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본고는 [KOTRA 노보시비르스크 무역관 종합 보고서]를 요약, 정리한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중장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